본문 바로가기

당좌자산2

유동자산의 구분 지난번 강의 정리. 금일은 유동자산에 대하여 적어 보겠습니다. 재무상태표 자산 부채 Ⅰ 유동자산 Ⅰ 유동부채 : 1년 이내 현금화 되는 자산 : 1년 이내에 현금이 유출되는 부채 Ⅱ 비유동자산 Ⅱ 비유동부채 : 1년 이후에 현금화 되는 자산 : 1년 이후에 현금이 유출되는 부채 자본 재무상태표 자산 부채 Ⅰ 유동자산 Ⅰ 유동부채 (1) 당좌자산 현금성자산 단기투자자산 매출채권(받을돈) (2) 재고자산 Ⅱ 비유동자산 Ⅱ 비유동부채 자본 지난 번 재무상태표에서 자산과 부채를 1년을 기준하여 유동과 비유동으로 구분하였고, 그중 유동자산을 자산의 성격에 따라 당좌자산과 재고자산으로 나누었습니다. 이렇게 세부적으로 분류하는 이유는 다시 말씀드리자면, 회계 언어를 정보이용자들에게 유용하게 제공하기 위하여 재무제표를.. 2016. 1. 20.
유동자산과 유동부채 그간 배운 재무제표와 손익계산서. 다시 처음으로 돌아가서, 회계는 정보이용자들에게 유용한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비즈니스 언어이며 이 회계를 도식화 한 것이 재무제표와 손익계산서라고 할 수 있습니다. 고로, 재무제표란 정보이용자들에게 유용한 정보를 제공해 주는 것입니다. 그리하여 같은 정보라 하여도 좀 더 일목요연하게 정보를 제공하기 위하여 자산이나 부채를 그 성격에 따라 나누며 우리는 보통 회계처리상 계정과목을 나눔으로써 그를 분리 합니다. 세세하게는 계정과목으로 분리하며, 크게는 아래와 같이 나눌 수 있습니다. 1년을 기준으로 유동과 비유동 자산, 부채를 나누어 기업의 단기적인 재무상태와 장기적인 재무상태를 보여 줍니다. 처음 강의를 들을 때 강사님께서 그러셨거든요. 재무상태표는 미래를 보여주고, 손익.. 2016. 1. 20.